전체 글 31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8D3/W8D4

W8. 프로덕트 개발 방법론 # 개발 방법론 워터폴(waterfall) 방식의 특징 ○ 초기에 미리 정의된 요구사항 미리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 큰 릴리스 정량화된 프로세스에 따라 주기 별 릴리스, 전체으로 큰 부분만 릴리스하게 되어 업데이트가 비교적 느리다 ○ 계획중심 프로젝트에 대하여 완벽한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한다 ○ 적은 커뮤니케이션 문서 중심의 방법론으로 문서에 근거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단계별 산출물 전달 계획 중심적 방법론으로 정해진 단계가 완성됨에 따라 산출물을 전달한다 (디스커버 - 디자인 - 디벨롭) ○ 마지막 통합 초기 계획이 완전하다는 가정하에, 중간 통합 없이 최종 프로세스 수행 후 문제점을 도출 및 해결한다 애자일 (agile) 방식의 ..

카테고리 없음 2023.05.25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8D2

W8. 프로덕트 개발 방법론 # 스크럼 프레임워크 (Scrum Framework) '스크럼은 팀이 중심이 되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의미의 용어' 스크럼은 팀원 스스로 스크럼 팀을 구성하고 개발 작업에 관한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스프린트 플래닝 프로덕트 오너가 유저 스토리를 기반으로 프로덕트 백로그를 작성한다. 유저 스토리는 고객이나 개발자가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고객이 작성하거나, 고객이 서술하는 형식으로 작성되어야 한 '나는 ~로서 ~하기 위해 ~하고 싶다' 형식으로 작성하여 who, why, what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프로덕트 백로그는 이 유저 스토리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 스프린트 백로그 (Sprint backlog) 프로덕트 백로그에서 결정된 우선..

카테고리 없음 2023.05.25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8D1

W8. 프로덕트 개발 방법론 # 개발 방법론 프로덕트 매니저란 "함께 만들어야 할 것을 기획함으로써 사업 가치와 고객 가치라는 결과를 창출하는 책임을 진 사람" what to build (기획), how to build (창출)를 통해 단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반복 개선해 나가면서 점차 거시적인 관점에서 장기적인 전략을 필요로 한다. 제품 개발 라이프 사이클 ① 기회 포착 및 계획 : 외부 요인 또는 내부 요인에서 기회를 발견하고 계획을 세운다 ② 솔루션 디자인 : 발견한 기회를 바탕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그 문제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도출, 정의한다 ③ 솔루션 구축 : 만들기로 한 솔루션을 디자인팀과 개발팀과 협업하여 실제로 고객의 손에 쥐어질 수 있는 프로덕트를 만든다 ④ 솔루션 공유 : 만들어진 제..

카테고리 없음 2023.05.23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7D3

W7. PM에게 필요한 개발 지식 #API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에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 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서비스가 어떤 기능을 수행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API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지 정의하고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한다 API로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때는 언제나 데이터가 함께 오고간다. 클라이언트가 로그인을 요청하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 데이터를 보내야하고, 이미지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을 요청할때도 검색어가 있어야 한다. Restful API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특징을 기반으로 구한 API' 여기서 REST는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

카테고리 없음 2023.05.22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7D2

안녕하세요 강은지입니다 그동안 학습을 열심히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뭐 이런저런 일이 있었는데 감정 조절도 제대로 못하면서 그냥 하염없이 시간을 허비했습니다 아직도 아침에 눈을 뜨면 너무 힘들고 잠도 못자고 있지만 딱 한달만 힘들자라는 마음으로 버티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마음이 힘들다는 이유로 시간을 낭비하고 있을 수 일상으로 돌아오도록 노력해야겠죠 위클리 과제도 제대로 못하고 학습도 못따라가서 공강에는 학습만 진행하려고 합니다 다들 이런저런 힘든 일들이 있으실텐 행복만 하세요 :) 그럼 오늘부터 정신 차리고 블로깅 진행하겠습니다 W7. # 앱 서비스의 이해 모바일 기반 앱 서비스 ○ 네이티브 앱 (Native App) 모바일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언어를 사용해 개발한 앱으로 기기 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고 ..

카테고리 없음 2023.05.22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7D1

W7. PM에게 필요한 개발 지식 # IT 기반 서비스 'IT (Information Technology)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정보를 어떻게 다루느냐를 바탕으로 서비스 구성' IT 서비스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인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인 서비스로 구성된다 서버에 모여있는 정보와 클라이언트에서 입출력되는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특정한 기능을 하는 서비스를 구성하게 된다 PC와 모바일에서의 IT 비교 ○ PC : 키보드 마우스 → 웹브라우저 → 웹서버 → 데이터서버 ○ 모바일 : 터치패널, 센서 → 스마트폰 앱 → 앱서버 → 데이터 서버 프론트앤드와 백앤드 사용자는 웹이나 모바일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고, 클라이언트에 여러 기능을 조직하면서 서버에 정보를 주고 받는 요청을 보내고..

카테고리 없음 2023.05.16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6D4

W6. 데이터 분석 실무 #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전달되는 과정'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빠르게 이해해 제품의 개선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제품 분석 결과를 빠르게 공유해 제품의 문제를 빠르게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시각화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다 2) 데이터 분석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데이터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다 3) 요약 통계보다 정확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4) 효과적인 데이터 인사이트 공유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5)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와 방법이 무궁무진하다 데이터 시각화..

카테고리 없음 2023.05.15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6D2

W6. 데이터 분석 실무 # 린 분석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행동을 분석해 '프로덕트 인사이트'를 발견하기 위해 해야 할 질문 ○ 해당 프로덕트에 맞는 고객 유입은 무엇인가? ○ 프로덕트 성장을 위해 우리는 고객에게 어떤 행동을 원하는가? ○ 어떤 지표를 통해 이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가? ○ 해당 프로덕트를 구매하려는 고객은 어떤 가치를 원하는가? ○ 해당 가치를 얻기 위해 고객은 어떤 점들을 고려하는가? 사업 단계별 린 분석 방법 1) 공감 단계 '고객이 문제 해결에 돈을 쓸 것인가?' 목표는 많은 사람이 구매할 방식으로 여러분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찾는 것이다 미쳐 몰랐던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 사람들과 정성적, 탐색적, 개방형 대화를 나누고, 문제에 적합한 솔루션을 찾으려 노력하면서 대화가 점점 ..

카테고리 없음 2023.05.10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6D1

W5. 데이터 분석 실무 # IT 프로덕트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전체적인 흐름 1) 데이터 생성 데이터 수집은 보통 유저가 사용하는 앱, 웹에서 발생한다. 유저의 간단한 정보들과 무슨 행동(클릭)을 했는지 데이터를 만든 후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로 전송한다 ex)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 상품페이지 스크롤, 홈화면 접속 2) 데이터 수집 프론트앤드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서버 혹은 로그서버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서버는 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대표적인 데이터 수집 서버로는 Aws의 Kinesis, Apache의 Kafka 등이 있다 3) 데이터 가공 후 저장 (ETL) ETL - Extra (추출), Transform (변형), Load (적재) 대표적인 ETL을 처리하..

카테고리 없음 2023.05.10